최영식 AI융합대학장
한국항공대는 에어 모빌리티 관련 전공과 인프라를 보유한 국내 대표 항공특성화대학이다. 지난해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소프트웨어(SW)중심대학에 선정돼 에어 모빌리티 핵심인 AI·SW 인재 양성에 박차를 가한다. 2021년 AI융합대학을 신설, AI·SW는 물론 자율주행, 스마트드론, 도심항공교통(UAM) 분야 전문 교육을 한다.
최영식 한국항공대 SW중심대학사업단장(AI융합대학장)은 “올해 네 가지 목표를 수립하고 에어 모빌리트 특화 SW중심대학으로 위상을 강화한다”고 말했다.
최 단장은 “올해 산학협력 인턴십도 강화한다”며 “지난해 10개 업체와 10건 프로젝트를 진행한데 이어 올해 16개 업체와 16건 프로젝트를 진행한다”고 설명했다. 지난해 교원 10명, 대학원생 13명, 학부생 50명이 참여했다. 학부생에게는 7000만원의 근로장학금이 지급됐다. 올해는 약 2억원의 근로장학금이 지급될 예정이다.
최 단장은 “한국항공대는 에어 모빌리티 특화 AI·SW 인재 양성 위한 교육과정 개편과 환경을 구축할 것”이라며 “관련 장비는 물론 관제실습실, 관제프로그램 및 시뮬레이션 등을 도입해 안전하면서도 실질적 교육을 제공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기사 원문 보기
전자신문 / 김명희 기자 / 2022.02.15
2022년 자율주행차 제작 워크샵 변경 일정 안내
● 일 시 : 8.17(수) ~ 8.26(금) / 13:00 ~17:00시
● 장소 : 기계관 107호
● 상세일정
회차
일자
내용
1
08.17(수)
자율주행
차량 원리 및 하드웨어 구성 교육
2
08.18(목)
nVidia
Jeston
Nano 세팅과
통신 프로토콜 교육
3
08.19(금)
OpenCV
영상처리
기초 교육
4
08.22(월)
OpenCV
영상처리
기반 차선 인식 알고리즘 교육
5
08.23(화)
CNN
기반
딥러닝 모델 교육
6
08.24.(수)
자율주행
액츄에이어와 센서
인터페이스 교육
7
08.25(목)
YOLO
기반
자율 주행 알고리즘 교육
8
08.26(금)
임무
수행을 위한 자율주행 시스템 최종 시험
● 원활한 워크샵 운영을 위한 사전 학습 동영상 공유
1. python 기초 강좌
https://www.youtube.com/watch?v=QoBPrU3gBrk
2. numpy와 pandas 기본 개념 영상
https://www.youtube.com/watch?v=vjMeYeGe7F4
3. arduino를 활용하여 rc카 제어 코드 & 회로 구성 방법
https://www.youtube.com/watch?v=Inf-lJYKbbs
4. arduino 함수 구현 방법
https://www.youtube.com/watch?v=qINoY_4SO0M&list=PLJk90uXwpQI8-8PoCMXDIuOwf0mfK1Q5t&index=12
건설 자동화 및 자율주행 기술 연구
1. 건설환경을 위한 이동로봇의 탐색과 건설현장의 3D 시각화를 위해 UAV와 UGV의 협업을 비롯한 다양한 프레임워크를 연구하신걸로 알고 있습니다. 자세한 설명을 부탁드립니다.
- 안녕하세요. 저는 한국항공대학교 AI자율주행시스템공학과에서 조교수로 재직 중인 김필은입니다. 제 연구의 기본적인 방향은 이동로봇을 건설 환경과 같이 험난한 환경에 적용시켜보고자 하는 노력입니다. 최근 모바일 로봇 분야의 기술 개발은 환경 내에서 센서 정보 및 지도 정보를 이용하여 로봇의 실내 및 실외 환경에서 정확한 위치와 자세를 파악할 수 있게 하고 있으나 실내에서는 GPS 데이터를 수신할 수 없으며 건설 현장은 복잡하고 그 특성상 시시각각으로 변하는 주변 환경의 물체들로 인해 경로 계획과 임무 계획, 위치추정의 정확성에 방해를 받고 있기 때문입니다.
- 기존에 건설 현장에서 사용되던 정적 레이저 스캐닝 방법은 시간이 많이 들고 노동 집약적이었지만 SLAM 기술을 이용하여 지속적으로 업데이트되는 포인트 클라우드를 기반으로 탐색하는 자율 이동 로봇을 개발하였습니다. (Fig. 1) 스캔한 데이터를 정합할 때 공통 대상이나 특징점을 사용하지 않아도 되고 대규모 사이트를 재구성하는데 필요한 스캔 횟수가 줄어들어 데이터 수집에 소요되는 시간과 비용을 절감하는 3차원 지도 생성의 자동화 프로세스를 구축했다는 점에 의의가 있다고 하겠습니다.
- 건설이나 재난현장과 같은 환경은 현장에 대한 형상 정보를 미리 알기 어렵고 알아도 부정확한 정보이므로 이러한 환경을 위한 모바일 로봇 경로 및 임무 계획은 쉽지 않습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무인항공기 (UAV)의 도움으로 레이저 스캐닝 시스템이 장착된 지상 차량 (UGV)이 협업을 통해 현장 데이터를 획득하는 프레임워크에 대해 연구하였습니다. (Fig. 2) UAV와 UGV는 서로 다른 센서 및 위치에서 생성된 3D 포인트 클라우드를 자동으로 정합하는 것은 서로 다른 폐색과 스케일이 발생하기 때문에 어려움이 있는데 각각 vehicle에서 획득한 이미지의 2D 로컬 특징점을 사용하여 각 포인트 클라우드의 자동 정합 프레임워크를 제안하였으며 UGV에서 촬영한 영상과 매칭되는 충분한 포인트를 감지할 수 있는 UAV 카메라의 최적 각도를 파악하여 3D 공간 데이터 정합을 자동화하였습니다. (Fig. 3) 그 결과 UGV는 UAV의 협업을 통해 정적 스캔 위치를 찾고 탐색 경로를 계획함으로써 고품질 현장 데이터를 효율적으로 수집할 수 있었습니다.
2. 주로 건설현장에서의 로봇기술을 적용하시는 연구를 많이 진행 중 이신거 같은데, 연구를 통해 이루고 싶은 최종 목적이 궁금합니다.
- 건설현장은 흔히 첨단기술이 가장 늦게 적용되는 분야라고 일컬어져 왔습니다. 그러나 건설산업은 현재 4차 산업혁명 기술과 로봇의 접목을 통해 다각도에서 패러다임의 전환이 시도되고 있습니다. 국내에도 많은 건설관련 회사에서 건설현장에 로봇 기술을 적용하려는 움직임이 많아지고 있습니다. 예를 들어, 사고 위험이 높은 천장 드릴 타공작업을 대신 해주는 앙카링 로봇과 같은 무인시공로봇이나 건설환경 주변을 자율주행하면서 각종 정보를 수집하는 무인정찰로봇 등이 건설현장에서의 실제 활용성 검증이 완료되었습니다. 이러한 건설 업계의 노력의 가장 주된 배경은 건설 현장의 안전을 증대시키고 생산성과 효율성을 향상시키는데 있다고 생각합니다. 저도 이러한 연구를 통해 이루고 싶은 목적은 동일한 것 같습니다. 건설장비에 각종 센서를 부착하여 주행의 안정성을 높이고 센서로부터 수집한 데이터를 활용하여 공정관리 뿐 아니라 위험요소를 사전에 파악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로봇과 인공지능 기술을 사용한 자동화를 기반으로 건설현장의 안전을 도모하고 생산성을 높이는 데에 기여하고 싶습니다.
3. 위의 내용 외에 더 소개해 주실 연구가 있으시면 알려주세요.
- 더 소개할 연구라기 보다는 앞으로의 계획에 대해서 말씀드릴까 합니다. 이전에 소개 드린 저의 연구는 건설 환경을 위한 이동로봇에 관련되어 있었지만 작년부터 한국항공대학교 AI자율주행시스템공학과에서 근무하게 된 계기로 앞으로는 자율주행 기술에 관련된 연구도 진행해볼 계획입니다. 먼저 최근에 자율주행 관련 대회들이 많이 생겨나고 있는데 학생들과 다양한 자율주행 대회에 참가하여 좋은 추억을 만드는 것이 연구 이외에 또 하나의 계획입니다. 현재 이러한 대회 준비를 지도하고 있으며 (Fig. 4) 제가 가진 경험과 노하우를 학생들과 나누며 성장해가는 것을 보며 보람도 느낄 수 있으리라 기대하고 있습니다. 이를 기반으로 자율주행용 Hardware-In-The-Loop (HILS) 시스템을 구축하여 자율주행 제어 시스템의 성능향상을 위한 연구도 계획하고 있습니다.
4. 현재 운영중이신 한국항공대학교 “KAU-IRAM Lab.”의 비젼과 목표, 그리고 어떤 학생들을 들어오면 좋을런지 소개와 홍보를 부탁드립니다.
- 제가 운영 중인 연구실에서는 무인 이동체 시스템을 위해 이동로봇공학, 경로계획, SLAM, 센서융합, 포인트클라우드 프로세싱, 인공지능 및 딥러닝 분야의 다양한 방법들을 기반으로 보다 진보된 지능 로봇과 자율형 모빌리티를 위한 알고리즘을 연구하는 일에 중점을 두려 하고 있습니다. 또한, 서두에 말씀드린 건설 현장을 위한 지도 구축과 BIM 업데이트, 건설 장비 자율주행 등의 연구도 이어 나갈 계획입니다. 아직은 연구실을 구축하는 초기 단계라 구체적인 비전이나 목표 같은 것은 세워놓고 있지는 않습니다. 그리고 기본적으로 로봇이나 자율주행에 흥미가 있는 학생이 들어오는 것이 좋겠다고 생각하며 무언가를 만들기를 좋아하고 스스로 설정한 어떤 목표에 끈기를 가지고 임할 수 있는 학생이 저희 연구실에 왔으면 하는 바램 입니다. 탄탄한 이론적 기본과 학습 능력도 물론 연구에 있어서 매우 중요하지만 저는 그보다도 작은 아이디어라도 구체화시키고 문제를 정립해서 정답이 나올지 아닐지 모르지만 끈기를 가지고 끝까지 파고들 열정이 있는 학생이 가능성도 더 높고 그런 학생과 함께 라면 더 재미있고 보람되게 연구를 할 수 있을 것 같기 때문입니다.
5. 로봇을 연구하게 된 계기가 있나요? 그동안 영향을 받은 연구자가 많으실거 같습니다. 어떤 연구자 분들의 어떤 영향을 받으셨는지 궁금합니다.
- 제가 가장 처음 로봇에 대해 관심을 가지게 된 계기는 AUTOTECH라는 학부 로봇 동아리 활동을 하면서부터 입니다. 태권 브이 로봇을 실제로 만들겠다는 농담 반 진담 반의 열정을 보이는 선배들을 보면서 저도 나름의 꿈을 키워 나갔던 것이 기억이 납니다. 그리고 대부분의 연구자들이 그렇듯이 저도 박사학위과정 때의 지도 교수님이신 Dr. Y. K. Cho 교수님에게 가장 큰 영향을 받았습니다. 그의 지도를 통해 연구 방법과 논리 전개부터 연구의 결과를 정리하는 방법, 과제나 업무를 대하는 자세, 학생들과 어떻게 소통하고 어떻게 협업할 수 있는지를 배웠고 이를 저의 학생들에게 적용하며 지도하려고 노력하고 있습니다.
6. 연구 활동 하시면서 평소 느끼신 점 또는 자부심, 보람
- 험난한 건설 또는 재난 환경에서 테스트하기 위해 매번 시험 장소를 섭외하는 일부터 실제 테스트에 임할 때까지 많은 시행착오와 로봇의 오작동 등의 실패와 시련을 겪으면서 필드에서의 실험은 굉장히 변수가 많고 쉽지 않다는 사실을 항상 느꼈었습니다. 그래도 고생한 결과 로봇이 잘 운용되고 하는 것을 보면 성취감을 느낍니다. 그리고 그 결과가 논문이라는 형태로 나와서 주변에서 인정도 해주어 학회에서 최우수 논문 상을 수상하고 (Fig. 5) 좋은 저널에 연구 결과가 실릴 때 보람을 느끼는 것 같습니다.
7. 이 분야로 진학(사업)하려는 후배들에게 조언해 주신다면?
- 로봇이나 자율주행 분야는 많이들 아시겠지만 융합적인 성격이 강합니다. 자신의 분야가 아니라고 생각되더라도 공부를 게을리하지 않았으면 합니다. 이런 융합적인 학문은 다양한 지식과 시각이 필요하기 때문에 나중에 어떻게 도움이 될지 모릅니다. 그런데 또 다르게 생각하면 내가 로봇의 모든 것을 다 알고 다 잘할 수는 없습니다. 그러므로 근래의 연구 흐름을 파악하는 통찰력 또한 매우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 그러한 통찰력과 나만의 전문성에 대한 밸런스를 잘 유지하며 공부했으면 합니다. 마지막으로 동료들과 협업에 신경을 많이 썼으면 합니다. 모든 연구 분야가 마찬가지이겠지만 특히 융합적인 성격이 강한 로봇 및 자율주행 분야에서는 협업과 네트워킹의 중요성은 더욱 강조해도 모자람이 없는 것 같습니다.
8. 다른 하시고 싶은 이야기들.
- 인터뷰 기회를 주셔서 그리고 제 글을 읽어 주셔서 감사합니다.
출처 https://www.materic.or.kr / 김필은(Pileun Kim )(한국 항공대학교 AI자율주행시스템공학과 조교수) / pkim at kau.ac.kr 2022-07-11
2022학년도 하계 직원 부서별 연수가 다음과 같이 실시되오니 양해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 다 음 -
1. 일 시 : 2022. 07. 07(목) ~ 07. 08(금) / 2일
2. 대 상 : 전 직원
※ 연수 참석으로 학부 행정실이 공석으로 전화 및 민원원무가 불가하오니 양해 부탁드립니다.
.
★신청 링크:https://bit.ly/3NZXXYZ(클릭)
교수학습센터에서는 2022학년도 기초학습역량 강화 프로그램을 다음과 같이 개설하오니 전공기초역량 함양에 관심 있는 학생들의 많은 관심과 참여 바랍니다.
-다 음-
1. 신청 대상: 본교 학부 재학생
2. 모집 정원: 총 80명(신청자 중 우선선발 대상자 먼저 배정)
※우선선발 대상: 1순위-학사경고자/2순위-교차지원 입학생/3순위-전과생
3. 운영 방식
신청 및 접수
▷
사전 진단평가
▷
개인별 맞춤형
온라인 강의 수강
▷
사후 총괄평가
- 학습역량관리시스템 신청(scm.kau.ac.kr)
-희망 강좌 수요조사
(인당 최대 2강좌 선택 가능)
※신청 가능 과목 하단 표 참조
- 사전 진단검사를 통한 분야별 개인 학업수준 진단
※경영계열: ‘수학’ 영역
진단평가 권장
- 인당 최대 2개 영역 실시 가능
- 사전 진단검사 결과에 따라 난이도별 강좌 추천
- 인당 최대 2개 강좌 수강 가능
-강의 종료 후 사후 총괄평가를 통한 학업능력 향상 여부 확인
4. 운영 기간
내용
운영 기간
신청 접수 및 희망 강좌 조사
22.7.11(월) 09:00 ~ 22.7.15(금) 17:00
수강생 및 강좌 확정 결과 발표
22.7.26(화)
사전 진단검사 실시
‘22.7.29(수) ~ 22.8.3(수)
온라인 강의 수강
22.8.8(월)~23.1.20(금)
사후 평가 및 만족도 조사 실시
23.1.20(금)~23.1.31(화)
5. 참여 혜택
수강 후 이수증 제출 시 한 강좌 당 수강 시간의 50%를 마일리지로 지급함
(※단, 최대 10마일리지)
※ 신청 가능 과목 리스트
- 신청 접수 시 수요조사를 진행하여 결과에 따라 강좌 선정 예정
- 수요조사 시 1인 당 2개까지 선택 가능
- ★강좌에 따라 수강인원 미달로 강좌가 개설이 되지 않을 수 있음
전공계열
과목명
전공계열
과목명
공학계열
3D 설계
상경계열
거시경제학
고체역학
경영학
공업열역학
경제수학
공학수학
경제학
공학용계산기 사용법
마케팅
동역학
무역학
매트랩
미시경제학
반도체
소비자행동론
열전달
재정학
유체역학
회계학
전기전자공학개론
수학계열
경제수학
전자기학
기초수학
전자회로
미적분학
정역학
위상수학
진동학
정수론
항공역학
통계학
회로이론
해석학
자연계열
생화학
선형대수학
유기화학
-
일반물리학
일반역학
일반화학
한국항공대학교 AI융합대학에서 "한국항공대 2022 AI 드론 레이싱"대회를 개최할 예정입니다. 한국항공대 캠퍼스를 배경으로 제작한 AirSim 시뮬레이션 환경에서, 주어진 코스를 최단시간에 주파하는 3개의 조를 뽑아 상금 및 상장을 수여할 계획입니다. AI융합대학 학생분들의 많은 관심 부탁드립니다.
■ 대회 기간
- 9월부터 11월까지 진행 예정(사업 진행에 따라 일정 변경 가능)
■ 대회 진행 방식
- AirSim 시뮬레이터 활용 방법 특강 제공
- 리더보드를 제공하여 실시간으로 참여 팀의 랩타임 공개
- 대회 종료 후 상위 기록의 3팀을 선정, 발표 후 상금 및 상장 수여
- 상금 및 상장 훈격은 추후 확정 예정
■ 참가 자격
- AI융합대학 소속 학부생 전학년
- 팀 또는 개인으로 참여
알 림
하계방학동안 다음과 같이 근무시간이 변경되오니 양지하기 바랍니다.
- 단축기간 : 2022.7.1.~2022.8.19
- 근무시간 : 09:00~17:00
2022학년도 2학기 AI융합학부 융합전공 신청을 다음과 같이 안내하오니 관심 있는 학생들은 신청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 다 음 -
1. 신청 대상 : 2022학년도 2학기 기준 1학년 이상 수료한 학부 재학생
단, 8학기 이상 이수자 중 당해 학기 졸업요건 충족자는 지원 불가
2. 대상 전공
가. AI융합경영전공, AI융합물류전공, AI융합신소재전공, IT-Biz융합전공 , 자율주행 융합전공
나. 전공별 소개 자료: 학교 홈페이지>AI융합학부>전공소개 참조
☞ http://college.kau.ac.kr/web/pages/gc7781h.do
다. AI 융합학부 전공 설명회
구 분
일 시
장 소
자율주행 융합전공
7월 6일(수) 13:00
과학관 103호
AI융합물류전공
7월 7일(목) 14:00
AI융합신소재 전공
7월 8일(금) 11:00
※ AI융합경영전공, IT-Biz융합전공은 전공주임교수의 일정상 동영상으로 대체 ☞ 학과 홈페이지 게시 예정(2022.7.5.)
3. 선발 일정
가. 신청 기간 : 2022. 7. 4(월) ~ 7. 15(금)
나. 제출서류
- AI융합학부 융합전공 신청원 1부
- 성적증명서(열람용) 1부
다. 제출 방법 : 학부 사무실(기계관 209호), 이메일 접수(hschang@kau.ac.kr)
※ 이메일 전송 후 반드시 유선(02-300-0258)으로 본인 접수내역 확인 요망
라. 승인자 발표 : 2022. 7. 26(화) 예정, 개별 문자 통지
※ 선발 일정은 진행 상황에 따라 변경될 수 있음 ☞
4. 문의 사항
가. 신청에 대한 문의는 AI융합학부 02-300-0258 /hschang@kau.ac.kr
나. 각 전공별 문의는 해당 전공주임교수
- AI융합경영전공 김진기 교수(kimjk@kau.ac.kr)
- AI융합물류전공 송보미 교수(bmsong@kau.ac.kr)
- AI융합신소재전공 윤요한 교수(yyoon@kau.ac.kr)
- IT-Biz융합전공 김진기 교수(kimjk@kau.ac.kr)
- 자율주행 융합전공 김필은 교수(pkim@kau.ac.kr)
AI 융 합 대 학 장
Research for an autonomous driving system for construction site
김필은 교수의 IRAM 연구실에서 건설 현장을 위한 자율 주행 시스템을 연구하고 있다. 로봇은 흔히 지도에 대한 정보를 기반으로 실내 환경에서 정확한 위치를 파악하고 탐색할 수 있다. 일반적인 지도는 건물의 구조적 레이아웃을 포함하지만 위치 파악의 정확도는 비구조적 건물 요소, 즉 문이나 가전제품 및 가구와 같은 일반적인 항목에 의해 크게 영향을 받는다. 이 연구는 센서에 의해 감지된 비구조적 요소에 대한 시맨틱맵을 동적으로 업데이트하여 실내 로봇 위치 파악의 견고성과 정확성을 향상시킨다. 우리는 객체 인식과 지도 업데이트를 전통적인 확률적 지역화로 통합하는 수정된 AMCL (Adaptive Monte Carlo Localization)을 제안한다. 제안된 접근 방식을 통해 로봇은 현재 환경 상태를 반영하는 의미론적 건물 지도을 업데이트하여 비구조적 요소로 인해 발생하는 오류를 자동으로 수정할 수 있다. kinnapped robot과 기존의 localization 시나리오에 대한 평가로 시맨틱 지도 업데이트 기능이 보다 정확하고 강력한 자세 추정을 달성할 수 있음을 보였다.
[그림 ] 건설 현장을 위한 자율 주행 시스템 구조
또 다른 연구의 목적은 모의 건설현장에서 장애물을 감지할 수 있는 센서일체형 건설장비를 모의하는 것이다. 다양한 센서를 이용하여 현장을 정확히 포착하여 상황을 파악하고 상황 정보를 관리인에게 전달할 수 있는 건설장비의 완전 자율주행에 초점을 맞추고자 하였다. 3D 레이저 스캐너와 카메라를 사용하여 가상 픽업 트럭 모델을 만들고 장애물을 감지하기 위해 감지 데이터를 수집 및 처리하는 시뮬레이션에 대한 개요를 제공했다. 로봇 운영 체제(ROS) 프레임워크를 기반으로 통합된 센서를 장착한 픽업 트럭을 생성하여 포인트클라우드 클러스터를 감지하기 위해 PCL (포인트 클라우드 라이브러리) 알고리즘을 적용했다. 사각지대에 있는 작업자와 같은 물체를 인식하는 기능을 통해 혼잡한 건설 현장에서 작업자 안전을 향상시킬 수 있는 가능성을 보여준다. 추가 연구에는 실제 작업장에서 장비의 센서 기반 인식 및 평가를 기반으로 하는 자율 제어가 포함될 예정이다.
4차 산업혁명 기술발전에 따른 미래모빌리티 인력 양성을 위한 한라대학교와 (주)만도, HL클레무브가 함께하는
"2022 만도 & HL클레무브 자율주행모빌리티경진대회"를 다음과 같이 운영하고자 하오니 많은 관심과 참여 부탁드립니다.
AI융합대학 학부생들을 대상으로 2022년도 자율주행차 제작 워크샵을 진행할 예정이오니 학부생들의 많은 참여 바랍니다.
■ 워크샵 목적
- 오픈소스 하드웨어 기반 자율주행차 설계 및 조립 교육
- 자율주행을 위한 딥러닝 기반의 주행 알고리즘 교육
■ 접수 방법: 온라인 접수(접수처: 2022년 자율주행 자동차 제작 워크샵 및 대회 참가신청)
■ 접수 기간: 7월 3일(일)까지
■ 모집 대상
- AI융합대학 소속 학부생(복수 전공 및 부전공자도 지원 가능)
- 아두이노, Python (특히 numpy) 사용 가능자
■ 모집 인원: 10팀 내외(3-5명으로 팀 구성)
■ 워크샵 일정 및 교육 내용
회차
일자
내용
1
08.01(월)
자율주행 차량 원리 및 하드웨어 구성 교육
2
08.03(수)
nVidia Jetson Nano 세팅과 통신 프로토콜 교육
3
08.08(월)
OpenCV 영상처리 기초 교육
4
08.10(수)
OpenCV 영상처리 기반 차선 인식 알고리즘 교육
5
08.17(수)
CNN 기반 딥러닝 모델 교육
6
08.22(월)
자율주행 액츄에이어와 센서 인터페이스 교육
7
08.24(수)
YOLO 기반 자율 주행 알고리즘 교육
8
08.26(금)
임무 수행을 위한 자율주행 시스템 최종 시험
과학기술정보통신부에서 주최하는 K-디지털 챌린지: 2022 메타버스 개발자 경진대회를 실시하오니 많은 참여 바랍니다.
■ 주최 및 주관: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한국전파진흥협회, 한국메타버스산업협회
■ 참가 자격: 메타버스 서비스 및 컨텐츠 개발에 관심있는 학생
■ 참가자 지원: 개발 장비 및 소프트웨어 대여 지원
■ 대회 일정
일시
내용
05.31(화) - 06.28(화)
참가 신청 접수
07.01(금)
오리엔테이션
07.01(금) - 09.30(금)
교육 및 기술 지원
08.22(금)
출품작 접수 마감
08.26(금)
1차 평가(서면)
09.01(목) - 09.02(금)
2차 평가(발표/시연)
09.05(월) - 09.26(월)
멘토링
09.27(화)
3차 평가(발표/시연)
09.30(금)
최종 평가(발표/시연)
10월 중
시상식
■ 접수 방법: 온라인 접수(접수처: 메타버스 개발자 경진대회)
■ 문의처: 02-6012-7916 / contest@metaversedev.kr
한국 SW 산업협회 컨소시엄에서 채용확정형(수료생 중 50% 정규직 채용) 소프트웨어 실무 인재 양성 프로그램을 실시하오니 많은 참여 바랍니다.
■ 참여 기업
- 오티아이 : 국가정보시스템 구축 전문기업
- 대보정보통신 : 정보통신공사업 전국 5위 / 교통IT, 공공SI전문기업
- 인피니트헬스케어 : 세계적으로 인정받는 디지털헬스케어 대표기업
- 오스템임플란트 : 디지털 덴티스트리 글로벌 선도기업
- 현대IT&E : 현대백화점그룹 IT전문기업
- 날리지큐브 : 엔터프라이즈 솔루션 국내1위 업무포털 전문기업
- 헬스허브 : 디지털 헬스케어 플랫폼 기업
- 디지털트윈분야 : 6개기업 동시채용중
- 와이즈스톤 : SW테스트 국내1위 / 주35시간 극강의 워라밸기업
- KCC정보통신 : 55년 전통 우리나라 최초 SW기업
- 더존비즈온 : 국내 ERP솔루션 압도적 1위기업
■ 접수 방법: 온라인 접수(접수처: https://www.sw.or.kr/site/sw/edu/selectEduList.do)
■ 접수 기간: 기업마다 상이하므로 첨부한 안내문 참조
■ 교육 내용: 기업마다 상이하므로 첨부한 안내문 참조
■ 문의: 한국소프트웨어산업협회 HR컨설팅팀 (02-2188-6998/6949)
대한민국 디지털트윈을 이끌어가는 국가대표 혁신기업 ㈜유비씨와 함께하는, 디지털 혁신기업을 위한 맞춤형 클라우드 융합기술 인력 양성과정 제 2회 교육생을 모집하오니 많은 참여 바랍니다.
■ 행사명: 기업 멤버십 SW 캠프(디지털 트윈 IT 개발자 부트캠프)
■ 일시: 2022.07.18(월) - 2023.02.27(월), 총 8개월
■ 교육 내용: 첨부파일 참조
■ 모집 인원: 면접 후 24명 선발
■ 대상
- 2022년도 기준 만 19세 - 34세 내국인
- 교육 종료 후 즉시 취업 연계가 가능한 졸업예정자
■ 접수 기간
- 1차: 06.09(목) - 06.30(목)
- 2차: 07.01(금) - 07.10(일)
■ 접수 방법: 온라인 접수(접수처: 디지털 트윈 부트캠프)
소프트웨어에 관심있고 열정 넘치는 Companions를 선발하여, Software Influencer로 함께 성장하기 위한 프로그램에 여러분의 많은 참여 바랍니다.
■ 지원 자격: 나이, 성별, 지역, 학력 제한 없이 누구나 지원 가능
■ 접수 기간: 06.15(수) - 07.03(일)
■ 접수 방법
1. 아래 주제 중 하나를 선택하여 인포그래픽을 포함한 글 또는 동영상 컨텐츠 제작
- 주제 1: Software, Passion, Creativity, Collaboration 4가지 키워드를 포괄하는 유튜브 영상
- 주제 2: 개발자의 시선으로 바라 본 소프트웨어 기술관련 리서치 article
2. 제작한 컨텐츠와 함께 지원서(첨부파일 참조)를 mseok.song@samsung.com로 제출
■ 주요 혜택
- 삼성전자 제품이 포함된 Companions만의 Special Kit Box 제공
- Best Companions로 선발된 멤버는 차기 멤버 참여 가능
2022 SW중심대학 공동 AI 경진대회
SW중심대학 사업에 참여하는 40여개 대학이 공동으로 참여하는 "2022 SW중심대학 공동 AI 경진대회"를 실시합니다.
본선 입상자에게는 상금과 상장을 수여하며, 모든 참가자에게 마일리지를 수여하니 많은 참여바랍니다.
● 대회 개요
- 대회 명: 2022 SW중심대학 공동 AI 경진대회
- 대회 목적: 주어진 주제를 해결하는 팀소프트웨어 개발 경험 제공
- 대회 주제
☞ 예선: 심리 성향 예측 AI 모델 개발
☞ 본선: 한글 이미지 OCR 솔루션 모델 개발
- 대회 기간
☞ 예선: 8월 1일(월) - 8월 26일(금)
☞ 본선: 9월 8일(월) - 10월 7일(금)
- 대회 장소: 온라인(시상식은 연말 SW인재페스티벌 오프라인 행사에서 진행)
● 대회 일정
- 06.13(월) - 07.22(금) : 온라인 참가 접수
- 08.01(월) - 08.26(금) : 예선전 진행
- 9월 중 : 예선 심사, 본선 진출팀 결정
- 09.05(월) - 10.07(금) : 본선 진행
- 10월 중 : 본선 심사
- 11월 중 : 본선 심사 결과 발표
- 12월 중 : 시상식
● 지원 자격
- AI융합대학 소속 학부생
☞ 소프트웨어학과, AI자율주행시스템공학과, 스마트드론공학과, AI융합전공
☞ 위 학과 복수전공 및 부전공자
- 개인 또는 팀(최대 5인)으로 참가
● 지원 내용
- 예선 참가자 전원 마일리지 30점 부여
- 본선 상장 및 상금
☞ 1위(1팀)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상 및 상금 300만원
☞ 2위(2팀) : 정보통신기획평가원 원장상 및 상금 100만원
☞ 3위(3팀) : SW중심대학 협의회 회장상 및 상금 50만원
☞ 4위(10팀) : SW중심대학 협의회 회장상 및 상금 20만원
● 접수 방법
1. 대회 온라인 접수(접수처: https://dacon.io/competitions/official/235902/overview/description)
2. 마일리지 부여를 위해 학생 역량 강화센터 프로그램 등록(https://scm.kau.ac.kr/ko/program/all/view/676)
- 예선 종료 후 증빙자료로 예선 참가증 제출 필수
지승도 교수님이 현재 진행중인 AI 기반 국방무기체계 개조개발 과제를 소개합니다.
지승도 교수님의 지능시스템연구실에서 수행 중인 국방AI 과제를 소개합니다.
2022년 자율주행 자동차 제작 워크샵 및 대회 안내
1. 목표
오픈소스 하드웨어 기반 자율주행차의 설계 및 조립과 자율주행을 위한 딥러닝 기반의 주행 알고리즘에 대한 이해 및 활용
2. 참가신청 : 링크 클릭 (6월 26일까지 신청 요망)
3. 모집인원 : 10팀 내외 (팀 당 4명)
4. 모집대상 : 자율주행차 제작과 관련된 영상처리 & 딥러닝에 관심이 있는 한국항공대학교 AI융합대학 학부생
- 아두이노 기초 지식과 파이썬 numpy에 대한 기초 지식 필요
- 이에 해당하는 지식이 부족하더라도 기초 자료 제공 예정
5. 워크샵 기간 : 8월 1일부터 8월 26일 (매주 월, 수요일 4시간 * 8회 진행, 오후 시간대 예정)
6. 워크샵 상세일정
- 1회차 (8월 1일) : 자율주행차의 원리, 하드웨어 구성
- 2회차 (8월 3일) : 젯슨나노 세팅과 통신 프로토콜
- 3회차 (8월 8일) : OpenCV 영상처리의 기초
- 4회차 (8월 10일) : OpenCV 영상처리 기반 차선인식
- 5회차 (8월 17일) : CNN 딥러닝 모델 생성
- 6회차 (8월 22일) : 자율주행 액츄에이터와 센서 인터페이스
- 7회차 (8월 24일) : YOLO기반 자율주행
- 8회차 (8월 26일) : 자율주행 미션 대회
7. 상세 내용은 첨부파일 참조
※ 문의 : 김필은 교수(pkim@kau.ac.kr / 02-300-0173)
※ 참가신청 https://docs.google.com/forms/d/e/1FAIpQLScf3iY9hYdhrqS88G1I2eNobfNQDhkz3Y2-xsYdawrvkhk3LQ/viewform
2022학년도 1학기 기말시험 실시 안내
2022학년도 1학기 기말시험 실시에 대해 다음과 같이 안내드립니다. 공정한 /평가환경 조성 및 건전한 시험문화 정착을 위해 시험 중 부정행위가 발생하지 않도록
학생 여러분의 적극적인 협조를 당부 드립니다. 또한 코로나-19 감염예방을 위하여 철저한 개인위생수칙 준수와 함께 대학 방역활동에 적극적인 협조를 부탁드립니다.
1. 기말시험 실시 개요
○ 기 간 : 2022. 6. 15.(수) ~ 6. 22.(수)
※ 일부 과목의 시험은 위 기간 외에 실시될 수 있습니다.
○ 대 상 : 재학생 전체
○ 시험방법 : 과목별로 시험기간 중 별도 지정된 교시 및 장소에서 실시
○ 시험교시 : 수업교시와 동일(주간 1교시: 09시 / 야간 1교시: 18시)
구분
1교시
2교시
3교시
4교시
5교시
6교시
7교시
8교시
9교시
주간
09:00
~
09:50
10:00
~
10:50
11:00
~
11:50
12:00
~
12:50
13:00
~
13:50
14:00
~
14:50
15:00
~
15:50
16:00
~
16:50
17:00
~
17:50
야간
18:00
~
18:50
19:00
~
19:50
20:00
~
20:50
-
-
-
-
-
-
2. 개인별 시험일정 확인
○ 학생 : 종합정보시스템> 교과정보> 수강정보> 나의 시험시간표
○ 교원 : 종합정보시스템> 강의관리> 강의정보> 담당과목시험시간표 및 시험감독시간표
※ 일시·장소는 공지 이후 일부 변경될 수 있으니 시험 전 반드시 재확인하시기 바랍니다.
3. 시험응시를 위한 학생 등교 관련 사항
○ (등교 전) 의심 증상을 인지한 경우 등교하지 않고 자가검사키트(신속항원검사키트) 검사하고 양성반응시 자택 인근 신속항원검사 의료기관을
방문하여 진료 · 검사(PCR 또는 전문가용 신속항원키트) 실시
○ (등교 후)
(입실 전) ① 자율적 발열체크 및 건강상태 점검 ② 손소독 후 입실
(입실 후) 개인 책 · 걸상 사용 전 소독(소독티슈 강의실 내 비치 또는 배포)
(시험 중) 창문을 수시개방하여 자연환기 양을 증가시키는 등 충분한 환기 실시
○ 확진자(7일 격리의무) 및 자가진단 이상자(유증상자 포함)는 대면시험에 참여할 수 없으며, 증빙서류 제출(kyomu@kau.ac.kr)시
담당교수 재량하에 개별 재시험을 실시함.
구분
증빙서류
자가진단 이상자(유증상자 포함)
1. 해당일 병원진단서 또는 코로나 검사 확인서
자가격리 통보자
1. 감염병관리본부 또는 지자체로부터 통보 기록
5. 부정행위자 처리
○ 부정행위 확인 즉시 시험장에서 퇴실 조치합니다.
○ 해당 과목의 성적은 F로 처리합니다.
○ 학생지도위원회에 회부하여 징계 처분합니다.
○ 부정행위를 한 사실이 사후 확인될 경우에도 또한 같습니다.
6. 기타
○ 부정행위에 단호히 대처할 예정이니 불필요한 행동으로 오해를 일으키는 일이 없도록 유념하시기 바랍니다.
- 휴대전화 단순 소지도 부정행위로 간주(전원종료 후 가방에 보관)
※ 부정행위 기준 (수업관리에 관한 내규 제14조)
- 타인의 답안지를 보거나 본인의 답안지를 보여주는 경우
- 허용되지 않는 참고자료를 사용하거나 소지하는 경우
- 통신기구(휴대전화 등)를 사용하거나 소지하는 경우
- 책상 위에 필기구 외 다른 물건이 있을 경우
- 그 밖에 부정행위로 여겨질 수 있는 부적절한 행동을 하는 경우
2022. 5.
교 무 처 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