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25년도 1학기 SW중심대학
    산학협력 R&D 프로젝트

    AI융합대학에서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정보통신기획평가원(IITP)의 SW중심대학 사업 지원을 받아 2025년도 산학협력 R&D 프로젝트를 진행합니다. 산학협력 R&D 프로젝트는 기업의 현장 문제를 중심으로, 기업체와 학교가 협력하여 진행되는 연구 개발 프로그램입니다. 관심 있으신 기업체의 많은 참여 바랍니다.

    자세히 보기

    • 2025년도 2학기 SW중심대학 산학협력R&D프로젝트(산학협력프로젝트Ⅱ수강)

      SW중심대학 사업단에서 2025년도 산학협력R&D프로젝트를 다음과 같이 실시합니다.
       
      ※ 4학년 필수과목 “산학협력프로젝트Ⅱ” 수강 신청자는 필수로 산학 R&D 프로젝트를 수강해야하며 아래 링크를 통하여 신청하시기 바랍니다.
       
      ☞ 링크 : 전체 - 한국항공대학교 학생역량관리시스템
       
      ■ 프로젝트 목적
      - 교내 캡스톤디자인 교과목을 수강하는 AI융합대학 4학년 학생들과 기업이 함께 프로젝트 수행
      - 기업의 현장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기업체와 학생 간의 협력 프로젝트를 통해 학생은 실무 역량을 키우는 윈-윈 체계 구축
      - 소프트웨어 및 IT 기술 연구 개발 프로젝트 수행
       
      ■ 프로젝트 기간: 2025년도 1학기, 2학기
      - 배정된 프로젝트로 1년 동안 진행하는 것을 원칙으로 함
      - 1학기 종료 후 평가 및 참여인원 변경에 따라 지도교수와의 협의를 거쳐 참여 프로젝트 변경 가능
       
      ■ 모집 대상
      - AI융합대학 소속의 Capstone Design, 산학협력프로젝트 등 졸업설계교과 수강 학생 (필수 신청)
      - 6학기 이상 이수자 또는 2026년 2월 졸업 예정자
       
      ■ 장학금 지급
      - 1,2학기 종료 후부터 다음 학기 시작 전까지 기간 중 약 20만원(세전) 지급
      - 프로젝트 담당 교수 및 업체 담당자의 학생 개별 평가에 따라 장학금 지급 여부 결정
        ※ 장학금은 총 참가 인원 규모에 따라 달라질 수 있음
      ■ 신청 방법
      1) 1학기 참가자 (기존 팀 유지)
      - 기존 참여 프로젝트와 동일한 프로젝트를 1지망으로 신청 (2,3지망은 공란으로 둘 것)
      2) 1학기 참가자 (팀 변경)
      - 프로젝트 변경 희망자는 반드시 기존 지도교수와 신규 지도교수 모두의 사전승인을 받고 신청할 것
      - 이동할 프로젝트를 1지망으로 신청 (2,3지망은 공란으로 둘 것)
      3) 1학기 미참가자 (복학, 엇학기 등 2025년 신규 참여자)
      - 총 3지망까지 참여 희망 프로그램 신청 (미작성 시 임의 배정)
      - 프로젝트 별 TO 및 지원자수에 따라 프로젝트에 임의 배치될 수 있음 (누적 성적증명 첨부 필수, 종합정보시스템 캡쳐도 가능)
       ※ AI자율주행시스템공학과는 파블로항공, 휴데이터스, 로보티즈만 지원 가능
       ※ 스마트드론공학과는 아이캡틴, Rapid Cubes만 지원 가능
       
      → 타 학과 프로젝트 참여 희망 시 "타학과 프로그램 신청서" 작성해서 제출 (*소속학과장 및 프로젝트담당교수 승인 필요)
      → 3개의 학과(소프트웨어학과, AI자율주행시스템공학과, 스마트드론공학과) 중에서 복수전공인 학부생인 경우,
        (1) 총 2개의 프로젝트(주전공 1개 + 복수전공 1개)를 반드시 수강해야 합니다.
        (2) 주전공 프로젝트는 1지망, 2지망 순서로 신청합니다.
        (3) 복수전공 학과 프로젝트는 3지망으로 신청합니다.
       
      ■ 신청 기간 : 2025년 8월 18일(월) 14:00까지
       
      ■ 수강 신청
      - 참여 프로젝트 배정 결과에 따라 학과 사무실에서 자동 처리(AI자율주행시스템공학과는 직접 수강신 청)
      - 수강 시스템 상 교과 시간이 특정되어 있으나, 실제 진행 시간은 프로젝트별로 추후 결정되어 진행될 예정
      - 수강 시스템 상 교과 담당 교수와 실제 참여 프로젝트는 무관함
      ※ 수강 신청 기간 중 반드시 본인의 수강 신청 여부를 확인하고, 이상이 있을 경우 즉시 학과 사무실에 연락하기
       
      ■ 배정 결과 발표: 8월 22일(금) 오전
      - 역량관리시스템 공지사항을 통하여 발표
       
      ■ 프로젝트 소개
      -자세한 프로젝트 내용은 아래 첨부파일 참고
      AI자율주행시스템공학과
      기업명
      파블로항공
      홈페이지
      http://www.pabloair.com
      제목
      AI기반 드론 탑재형 경량/저가형 영상 추적 시스템 개발 및 실증
      지도교수
      장인모
      내용
      - 드론 기반의 물품 배송 시 배송품 도착지 영상기반 착륙 유도 및 충돌회피
      - 탑재 이상 드론은 중소형 Life+Cruise, 멀티콥터 또는 고정익 중 1
      - 이(異 )종 임베디드 AI 영상처리 모듈 개발환경 작성 및 성능 비교 목표
      - 경량화(총 000g 이하), 저전력(5W 내외), 저가형(TBD), 소형화(TBD)
      - 多물체 인식 및 타겟 추적 및 위치, 속도 상태정보 추정,Gimbal형 및 Strapdown 형 영상센서 모두 고려
      기업명
      (주)휴데이터스
      홈페이지
      https://hudaters.com
      제목
      물류 차량 영상을 이용한 도로 변화 정보 탐지
      지도교수
      김필은
      내용
      - 물류 택배 차량 블랙박스 영상을 활용하여 도로 표지판, 신호등 등을 AI 기반으로 인식 및 분석
      - 신규 설치, 변경(속도 제한 등), 삭제된 시설 변화 사항을 자동 추적하고, 정밀지도 서비스 및 교통 관제 기관에 실시간 정보 제공
      - 도로 인프라 데이터 갱신을 효율화함으로써 자율주행, 스마트시티 구축 등 차세대 교통환경 구현에 기여
      - 영상 분석을 통한 현장 조사업무 감소, 유지보수 비용 절감 등 관리 효율성 극대화
      - 궁극적으로 보다 안전하고 효율적인 도시 교통 인프라 기반 확보 및 지속 가능한 교통 생태계 조성에 기여
      기업명
      (주)로보티즈
      홈페이지
      robotis.com
      제목
      AI 기반 물건 분류 자동화 시스템 개발
      지도교수
      조성건
      내용
      ● 목표
      물류센터, 생산라인, 재활용품센터 내 다양한 물건을 자동 분류할 수 있는 범용 AI
      모델과 매니퓰레이터 기반 자동화 시스템 구축
      ● 주요 과업
      1. 물품 영상 센서 데이터 수집 및 전처리
      2. AI 모델(HuggingFace LeRobot) 학습 및 커스터마이징
      3. 코치(Koch) 하드웨어 연동 및 시제품 구현
      4. 변경 물품에 대한 신속한 재학습 또는 Fine-tuning 방식 검증
      소프트웨어학과
      기업명
      (주)비틀웍스
      홈페이지
      https://brandcast.co.kr/
      제목
      비전 AI 기술을 활용한 학습자의 학습 계획 및 학습 공간 모니터링을 통해 입시생들의 학습 몰입도와 성취도를
      관리하는 모바일 AI 학습 플래너 "러너스하이" 개발
      지도교수
      길현영
      내용
      학원 혹은 스터디카페 등에서 사용하는 입시생들의 학습 태도 및 집중도, 학습 성취도를 관리하는 모바일 AI 학습플래너 APP과 학습관에 있는 학습자를 통합 관리할 수 있는 원격 통합 관제 콘솔 개발을 목표하며 다음과 같은 활동을 수반합니다.
      -최신 비전 AI 기술 연구 및 활용
      -모바일 플래너 APP 패키징 기술
      -학습 관리를 위한 스마트 플래너 기능 기획 및 개발
      -js,ajax,react 등 기초 웹 상용 기술 활용 경험
      -WEB 기반 학습 통계 데이터 시각화 구현 기술
      -효율 높은 light한 백엔드 API 스택 구축
      -LAMP 환경에 대한 인프라 스택 구축 경험
      -데이터베이스 이중화 및 보안 등 인프라 기술
      기업명
      (주)오드레몬오리진
      홈페이지
      http://chipster.co.kr/
      http://soundgram.co.kr
      제목
      빅데이터 및 생성 AI기술을 활용한 Art(미술) 중심의 작가, 작품, 갤러리 팬덤 플랫폼 "아뜰리(Artly)" 개발
      지도교수
      길현영
      내용
      '아뜰리'는 미술 중심의 예술 창작 과정, 전시, 공연 등 창작의 과정에서 생산되는 글, 영상, 이미지 등의 콘텐츠를 디지털화하여 온라인 콘텐츠로 제작해, 예술 애호가들이 자신이 관심있는 아티스트의 디지털 콘텐츠를 즐길 수 있는 아트 팬덤 플랫폼입니다.
      본 프로젝트는 생성형 AI, 빅데이터 기술 및 당사가 기보유한 선행 기술을 활용하며, 모바일 어플리케이션 및 어드민 사이트 개발을 목표로 합니다.
      기업명
      (주)미바고
      홈페이지
      https://www.mibago.com/
      제목
      블록체인 기반 탈중앙화 AI 모델 거래 및 튜닝  플랫폼 개발
      지도교수
      박종서
      내용
      다양한 AI 모델(LLM, 이미지생성 VLM 등)을 IPFS/Arweave 같은 탈중앙화 스토리지에 보관하고, 솔라나(Solana) 블록체인을 통해 모델의 소유권/라이센스/거래를 스마트컨트랙트로 변조 불가능한 거래기록을 투명하게 관리하며, 오프체인(AI 에이전트)에서 실제 추론과 파인튜닝을 처리하는 하이브리드 구조의 탈중앙화 플랫폼 구축
      기업명
      (주)네오와이즈(1)
      홈페이지
      https://www.neowise.co.kr/
      제목
      로블록스를 활용한 수학 교육 게임 개발
      지도교수
      박종서
      내용
      본 프로젝트는 메타버스 플랫폼 '로블록스(Roblox)'를 활용하여 수학 학습에 최적화된 교육용 게임을 개발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학습자의 흥미를 유도하고 반복 학습을 유도할 수 있도록 게임적 요소를 접목하며, GPT API 및 학습 수준 기반 콘텐츠 자동 추천 기능 등을 통해 맞춤형 학습이 가능하도록 설계한다. 이를 통해 저학년 학생들의 수학 기초 개념 이해 및 학습 지속력을 향상시키는데 기여하고자 한다.
      기업명
      (주)네오와이즈(2)
      홈페이지
      https://www.neowise.co.kr/
      제목
      로블록스 기반 양자 컴퓨터 교육 콘텐츠
      지도교수
      박종서
      내용
      Roblox 플랫폼을 기반으로 한 양자 컴퓨터 시각화 및 교육 콘텐츠를 개발하여 학생들이 양자 게이트, 큐비트, 알고리즘 등 미래의 핵심 기술 중 하낭인 양자 컴퓨터에 대해 직관적으로 체험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목표
      기업명
      더뉴피쳐
      홈페이지
      https://thenewfeature.com
      제목
      BCI(뇌-컴퓨터 상화작용) 데이터 학습 및 가시화 연구
      지도교수
      온승엽
      내용
      본 연구는 BCI(Brain Computer Interaction)에 관한 연구로서, 뇌의 작용과 심리상태를 분석함은 물론, 이를 활용한 데이터사이언스 기반 가시화, 시뮬레이션 분석 및 예측, 머신러닝 기반 심리 패턴 학습 및 분류, 그리고 애니메이션 혹은 음악연주 등을 통해 마음이 그려내는 카오스적 창발 현상 재연에 관한 독창적 연구를 포함한다.
      기업명
      모바일앱개발협동조합(1)
      홈페이지
      www.mobileappdev.kr
      제목
      AI기반 틀린 그림 찾기 플랫폼 개발
      지도교수
      박준섭
      내용
      AI기반 이미지 분석, 생성 및 변형 기술을 활용하여 사용자에게 틀린 그림 찾기 게임을 제공하는 플랫폼
      기업명
      모바일앱개발협동조합(2)
      홈페이지
      www.mobileappdev.kr
      제목
      AI기반 어린이 대상 대화 서비스 플랫폼 개발
      지도교수
      정재훈
      내용
      어린이들이 일상에서 캐릭터와 자유롭게 대화하며 학습과 놀이를 즐길 수 있는 AI 대화형 시스템 개발
      기업명
      모바일앱개발협동조합(3)
      홈페이지
      www.mobileappdev.kr
      제목
      AR 증강현실을 활용한 가구 인테리어 시뮬레이션 시스템 앱 개발
      지도교수
      정재훈
      내용
      스마트폰 카메라를 통해 공간 정보를 인식한 후 AR 프레임워크를 활용하여 AR로 구현하여, 화면을 통해 방의 구조와 가구의 배치 상태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애플리케이션 개발
      기업명
      주식회사 무하유
      홈페이지
      https://www.muhayu.com/
      제목
      멀티모달 생성형 AI 콘텐츠 분석을 위한 데이터 파이프라인 구축
      지도교수
      이인복
      내용
      ChatGPT의 공개 이후 생성형 AI는 거듭 발전하여 텍스트, 이미지, 음성, 영상 등 다양한 데이터 형식을 높은 수준의 퀄리티로 생성할 수 있는 신기술로 주목받고 있습니다. 이러한 상황에서 생성된 콘텐츠의 진위 여부를 파악하고 분석할 수 있는 시스템의 확보 및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는 상황입니다. 본 프로젝트는 멀티모달 AI 모델이 생성한 콘텐츠 중 비중 영역(이미지, 비디오)에 초점을 맞춰 이를 수집, 처리, 저장, 분석 가능한 데이터 파이프라인 구축을 목표로 합니다. 구축된 데이터 파이프라인을 토대로 비전 분야의 AI 생성 콘텐츠를 검증하고 진위 여부를 분석하는 기술 개발을 목표로 합니다.
      기업명
      주식회사 레이시오
      홈페이지
      https://trimm.bike/ko
      제목
      자전거 내비게이션 서비스 향상
      지도교수
      김철기
      내용
      현재 제안사의 자전거 내비게이션 서비스가 Open Street Map의 Graphhopper라는 플랫폼으로 구현되어 있다. 지도 제작시 작성된 태그를 기반으로 내비게이션 수행하다보니 사람들이 흔히 선호하는 자전거 길이 배재되는 경우가 많다. 그간 제안사가 수집한 자전거 라이딩 기록들을 이용하여, 네이버나 카카오 지도에 준하는 수준으로 사람들이 선호하는 경로를 추천하도록 서비스를 향상한다.
      기업명
      (주)아이클롭스
      홈페이지
       
      제목
      인공지능과 영상을 이용한 풍력발전기 블레이드 손상 검출 기법 연구
      지도교수
      김선옥
      내용
      -풍력발전기는 대형 구조물로서 발전기의 날개(블레이드)는 의 검사 외관 조사는 최근, 드론에서 촬용한 영상을 이용하여 표면 손상 및 파손 등의 결함을 찾아내는 방법을 이용하는 추세임
      -본 프로젝트를 통해서 풍력발전기 블레이드 운영시(회전중) 영상기술을 이용해서 결함을 찾아내는 방법을 영상분석과 인공지능 기법을 활용하는 방법에 대한 연구임
      -풍력발전기 모형실험을 통해서 블레이드 회전수와 카메라 해상도의 변수를 가지고 접근하며 이를 해결하기 위한 창의적인 방법과 기술을 적용하는 경험을 쌓을 수 있음
      기업명
      제이엠스마트(주)
      홈페이지
      http://www.jmsmart.co.kr/
      제목
      반려동물을 위한 스마트 소셜&헬스케어 통합 앱 개발
      지도교수
      김선옥
      내용
      '반려동물을 위한 스마트 소셜&헬스케어 통합 앱 개발 프로젝트'의 주요 목적은 반려동물의 건강관리, 반려동물 보호자의 니즈와 유기동물 문제를 함께 해결할 수 있는 다기능 통합 앱을 구축하는 것이다. AI팀은 반려동물 안구질환, 특히 고양이 결막염의 진단 정확도 향상을 위한 데이터 증강 기술 개발에 집중하였다. 또한 CNN 기반 AlexNet과 ResNet 등 기존 모델에 대한 체계적인 논문 분석과 의료 영상 증강 기법에 대해 깊게 연구하였다. 개발된 플랫폼 구축은 Android와 iOS 모두 지원하는 크로스플랫폼 애플리케이션 서비스 개발을 진행하였다. 이를 통해 산책, 의료진단, 반려동물 입양 모니터링, 반려동물 매칭 기능을 포함하는 종합적인 반려동물 케어 시스템을 설계하고자 한다. 본 프로젝트는 단순한 애플리케이션을 넘어서 반려동물의 건강관리와 유기동물 입양 매칭 시스템과 같은 사회적 문제 해결을 동시에 추구하는 스마트 헬스케어 플랫폼으로 발전시키는 것을 최종 목표로 한다.
      기업명
      소프트온넷(주)
      홈페이지
      http://www.softonnet.com/kr/
      제목
      LLM 기반 대학 본부 교무 행정 자동 질의응답 시스템
      지도교수
      박준섭
      내용
      대학본부는 교무관련 학사공지를 게시하나 학생들이 잘 보지 않고 전화로 교무처 직원들에게 구두로 문의하는 경우가 빈번하여 교무행정에 차질이 있다. 이러한 교무직원들의 업무경감을 위하여 LLM기반 자동질의응답 시스템을 1차 개발하였으며, 25.1학기 중 고도화를 하고자 한다. 특히, 자유전공 학생들을 위하여 자유전공기간동안 수강내용과 향후 지원하는 전공학과 관련 졸업요견등을 상담할 수 있는 자동질의응답 서비스를 개발하기를 원한다.
      스마트드론공학과
      기업명
      주식회사 아이캡틴
      홈페이지
      www.icaptain.kr
      제목
      딥러닝 기반 객체 인식 및 실시간 드론 제어 시스템
      지도교수
      남영우
      내용
      최근 드론 기술의 발전과 함께, 지능형 비전 기반 제어 시스템의 수요가 급증하고 있다. 본 프로젝트는 드론에 탑재된 카메라와 딥러닝 기반 객체 인식 기술을 활용하여, 실시간으로 물체를 탐지하고 반응하고 자율 제어 시스템을 구현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특히 LLM(대형 언어 모델)과 제로샷 객체 탐지 개념을 접목하여, 사전 학습되지 않은 물체까지 인식하고 유연하게 명령에 대응할 수 있는 고도화된 지능형 드론 플랫폼 개발을 추진하고자 한다.
      기업명
      Rapid Cubes
      홈페이지
      www.rapidcubes.space
      제목
      큐브 위성 온보드 AI 기반 구름 감지 및 이미지 처리
      지도교수
      윤지중
      내용
      초소형 인공위성의 온보드 AI 프로세서에서 작동이 가능한 AI 기반 경량화 구름 탐지 어플리케이션을 개발하고, 임베디드 환경에 구현하고, 인공위성과 연동하여 실험
      ■ 문의처
      SW중심대학사업단
      - 02)300-0469
      - 02)300-0474

      2025-08-05

      자세히 보기

    • 2025학년도 교과과정표(수시개편) 자료 안내

      2025학년도 교과과정표(수시개편) 자료를 공지하오니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2025-07-29

      자세히 보기

    • 2025학년도 1학기 성적경고자 상담 안내

      2025학년도 1학기 성적경고자 처리 절차를 다음과 같이 안내하오니 숙지하여 해당되는 의무항목은 반드시 실시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  다        음  -
      1. 성적경고 대상 : 평점평균 1.80미만인 자
      ※ 학사경고여부 확인 : 종합정보시스템 > 교과정보 > 성적정보 > 학사경고내역 확인
      2. 성적경고자 단계별 절차 안내 : 세부 절차는 <별첨 1> 참조
      (※ 2025. 8월 졸업확정자는 대상에서 제외)
      가. 1단계 : 성적경고 1회 이상자
      1) 지도교수와의 상담 : <상담 의무>, 소속 학부(과) 진행
      ※ 지도교수와의 상담을 미실시한 후 휴학한 학생은 복학 후 반드시 상담 실시 필요
        - 지도교수와의 상담을 실시한 후 교수가 서명한 상담일지를 소속 학부(과)에 제출하여야 수강신청이 허가됨
      2) 전문가 상담 : <상담교수의 추천 시 상담 의무>, 학생생활상담소
        - 상담교수와의 상담 진행 후, 상담교수가 전문가 상담이 필요하여 추천시 상담 진행 필요
      3) 학습법 특강 : <학생생활상담소 추천 시 의무 수강>, 교수학습센터
        - 전문가 상담 진행 후 학습성적부진형으로 추천시 학습법 특강 의무 수강 필요
      4) 학습유형진단 : <참여 권장>, 교수학습센터
      나. 2단계 : 성적경고 연속 2회 및 누적 총 3회 이상자
       1) 지도교수와의 상담 : <상담 의무>, 소속 학부(과) 진행
         ※ 지도교수와의 상담을 미실시한 후 휴학한 학생은 복학 후 반드시 상담 실시 필요
          - 지도교수와의 상담을 실시한 후 교수가 서명한 상담일지를 소속 학부(과)에 제출하여야 수강신청이 허가됨
       2) SLT자기조절학습검사 및 전문가 상담 : <의무>, 학생생활상담소에서 진행
          - 학생생활상담소를 통하여 ‘SLT자기조절학습검사’를 실시한 후 검사결과를 기반으로 전문가 상담을 실시
       3) 학습유형진단 : <의무>, 교수학습센터(CTL)에서 진행
          - 교수학습센터에서 진행하는 ‘학습유형진단’을 의무적으로 실시
       4) 멘토링 신청 : <1/2학년 의무, 3/4학년 선택>, 교수학습센터(CTL)에서 진행
         - 교수학습센터에서 진행하는 ‘멘토링’을 신청하여 1/2학년은 의무적으로, 3/4학년은 선택적으로 실시
      3. 성적경고자 제적사항
      가. 관련근거 : 학칙 제43조(제적) 8호“성적경고 연속 3회에 따른 학업관리 지도를 받고 도래하는 첫 학기에 성적경고를 받은자”
      나. 성적경고 연속 3회에 해당되는 학생은 특별휴학을 할 수 있음.
      4. 참고사항
      가. 지도교수와의 상담 관련
        1) 학부모가 불가피하게 상담에 참석하지 못할 시 지도교수와 전화상으로 상담해야 함.
        2) 지도교수 확인 및 상담일정은 해당학부(과)로 문의  ☞ ☎ AI자율주행시스템공학과 : 02-300-0258
        3) 성적경고자가 상담일지를 제출하지 않으면, 수강신청을 할 수 없음.
        ※ 2단계(연속 2회, 누적 총 3회 이상) 성적경고자 중 멘토링 참여자는 신청서를 교수학습센터에 이메일 제출(ctl@kau.ac.kr) 제출
        4) 2025학년도 1학기 원활한 수강신청을 위해 2025. 8. 4.(월)까지 성적경고 상담을 완료토록 함.
      ※ 대면상담이 어려울 경우 비대면상담 진행가능
      나. 성적경고자 상담은 웹수강지도 상담과는 별도이므로 웹수강지도상담도 실시하여야 수강 신청 가능함.(수강지도상담 공지 확인 요망)
      다. 2단계 성적경고자(연속 2회 또는 누적 총 3회 이상)는 성적경고 받은 다음 학기에 반드시 4가지 세부항목【상담교수와의 상담, SLT자기조절학습검사 및 전문가 상담, 학습유형진단, 멘토링(1/2학년만 해당)】을 실시하여야 함. ☞ 멘토링은 휴학생 참여 불가
      라. 문 의 처
      □ 학생생활상담소 : ☎ 02-300-0313
      □ 교수학습센터 : ☎ 02-300-0494
      □ 교무팀 : ☎ 02-300-0014
      2025. 7.
      교    무    처    장

      2025-07-24

      자세히 보기

    • 2025학년도 2학기 수강지도 상담 실시 안내





      2025-07-24

      자세히 보기

    • 2024학년도 2학기 중간 강의평가 실시 안내

      환류를 통한 학생 수업만족도 개선을 위하여 2024학년도 2학기 중간 강의평가를 다음과 같이 실시하오니 학생 여러분의 적극적인 참여를 부탁드립니다.
      1. 평가대상 : 2024학년도 2학기 수강 중인 모든 강의
      2. 평가기간 : 2024.10.21.(월) ~ 10.27.(일)
      3. 평가방법 : 온라인 평가(종합정보시스템 → 학사시스템 → 강좌정보 → 강의평가)
      4. 평가내용 : 서술형 응답 3문항
      (1) ‘강의 준비 및 운영’에 관한 소감이나 개선이 필요한 점이 있다면 기술해 주시기 바랍니다. (강의시간 준수, 휴보강, 강의계획서에 맞는 진도 운영 등)
      (2) ‘강의내용’에 관한 소감이나 개선이 필요한 점이 있다면 기술해 주시기 바랍니다. (수업 이해도, 질문·면담 협조정도, 학습자료 등)
      (3) ‘평가방법’에 관한 소감이나 개선이 필요한 점이 있다면 기술해 주시기 바랍니다. (과제, 시험, 성적확인, 평가기준 등)
      5. 기타사항
       - 평가하신 내용은 익명이 보장됩니다.
        ※ 단, 평가결과는 익명으로 집계되어 본인의 평가내역을 재확인하거나 수정할 수 없으니 신중하게 평가하여주시기 바랍니다.
      (문의 : 교무팀 ☎ 02-300-0364)

      2024-10-16

      자세히 보기

    • 2024학년도 동계 계절학기 실시 계획 안내

      2024학년도 동계 계절학기를 다음과 같이 실시하오니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 다 음 -
      1. 수강대상자 : 재학생 및 휴학생(단, 8학기 이상 이수 후 휴학생 제외)
      2. 수강신청 가능학점 : 최대 7학점
      3. 수강료 : 학점당 9만원
      ※ 2022학년도 제4차 등록금심의위원회 심의결과에 따라 2023학년도 동계계절학기부터 모든 종류의 수강형태에 대하여 수강료가 일괄 9만원으로 변경되었으므로 참고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4. 수업 일정
      구 분
      일 정
      비 고
      수강신청 기간
      2024. 10. 28.(월) ~ 10. 29.(화)
      1차 폐강
      2024. 11. 1.(금)
      ◼폐강기준 : 수강신청 전공 20명, 교양 25명 미만
      1차 수강변경 및
      추가 수강신청
      2024. 11. 5.(화) ~ 11. 6.(수)
      ◼신청과목의 개설 학부(과) 사무실에 신청
      ◼수강변경은 1차 폐강 과목 신청자에 한함
      ◼추가 수강신청은 여석이 있는 과목에 한함
      수강료 납부기간
      2024. 11. 12.(화) ~ 11. 13.(수)
      ◼개인별 가상계좌로 입금
      ◼미납부 과목의 수강신청은 자동 취소됨
      2차 폐강
      2024. 11. 18.(월)
      ◼폐강기준 : 수강료납부 전공 20명, 교양 25명 미만(영어커뮤니케이션 강좌는 10명 미만)
      ◼폐강과목 수강료 환불 : 12. 6.(금) 예정
      2차 수강변경 및
      추가 수강신청
      2024. 11. 21.(목) ~ 11. 22.(금)
      ◼신청과목의 개설 학부(과) 사무실에 신청
      ◼수강변경은 2차 폐강 과목 신청자에 한함
      ◼추가 수강신청은 여석이 있는 과목에 한함
      수강료 납부기간
      2024. 11. 26.(화) ~ 11. 27.(수)
      ◼ 2차 수강 변경자 및 추가 신청자
      수강취소기간
      (개강 전)
      2024. 12. 16.(월) ~ 12. 17.(화)
      ◼수강 취소시 대학 등록금 운영 규정에
      의거하여 수강료 전액 환불
      ◼취소강좌 수강료 환불 : 1. 10.(금)예정
      수업기간
      2024. 12. 23.(월) ~ 2025. 1. 14.(화)
      단, SDU는 별도 일정으로
      진행되며 추후 안내 예정
      ◼ 주 5일 수업 (월 ~ 금)
      ◼ 사이버강의는 별도 운영
      수강취소기간
      (개강 후)
      2024. 12. 23.(월) ~ 12. 27.(금)
      ◼수강 취소시 대학 등록금 운영 규정에
      의거하여 수강료의 5/6 환불
      ◼취소강좌 수강료 환불 : 1. 10.(금)예정
      성적입력기간
      2025. 1. 14.(화) ~ 1. 17.(금)
      성적상담 기간
      2025. 1. 20.(월) ~ 1. 21.(화)
      ◼성적 조회 및 이의신청
      ※ 과목별 강의실은 변경될 수 있으니 개강 전 강의계획서에서 꼭 재확인 부탁드립니다.
      ※ SDU(사이버강좌) 과목은 본교 계절학기 과목과 수업기간이 상이하니 꼭 SDU 홈페이지(http://www.sdu.ac.kr/ko/index.do)를 참고하여 수강하시기 바랍니다.
      ※ 항공운항학과 계기비행실습 과목의 경우 강의계획서 상 명시된 시간표 외 학과사정에 따라 수업운영이 탄력적으로 진행될 수 있습니다(세부사항은 수강생 대상으로 학과에서 별도 안내 예정입니다).
      5. 일정별 안내사항
      가. 개설과목 확인
        1) 메뉴위치 : 종합정보시스템>교과정보>강좌정보>강의시간표 및 계획서
        2) 강의시간 및 강의 담당교원은 학부(과) 사정에 의해 변경될 수 있으므로 수강신청 전 수강신청 페이지에서 반드시 재확인 바람
      나. 수강신청
        1) ‘수강신청 사이트’(http://su.kau.ac.kr/sugang/index.su)에서 수강신청
        2) 재수강 신청은 반드시 ‘재수강과목 신청’ 메뉴에서 신청해야만 하며 즐겨찾기 담기 불가함
        3) 계절학기는 수강신청 종료 후 수강신청 변경이 불가능하고 1/4선까지 취소만 가능함 (폐강과목 신청자만 수강변경 가능)
        4) 현재(2024학년도 2학기) 수강하고 있는 과목의 재수강 신청은 불가함.
         ※ 해당자는 계절학기 수강신청 종료 후 수강신청 강제 삭제됨
        5) 수강대상 전공이 지정된 과목은 지정 학부(과) 학생만 수강 가능함
        6) 동일강좌 20번 이상 클릭 시 이유 불문하고 해당과목 수강신청 불가함
        7) 수강신청 교과목 거래를 방지하기 위해 수강취소 후 임의의 시간이 지나야 여석 표기됨
      다. 1차 폐강 (1차 수강변경 및 추가 수강신청)
        1) 수강변경 : 1차 폐강강좌 신청자에 한하여 수강변경 가능
        2) 추가 수강신청 : 여석이 있는 과목에 한하여 추가 수강신청 가능
        3) 추가 수강신청 기간 : 11. 5.(화) ~ 11. 6.(수) / 원하는 과목의 개설 학부(과) 사무실에 전화로 연락하여 신청(온라인 신청 아님)
      라. 수강료의 납부
        1) 수강료 납부 기간 : 11. 12.(화) ~ 11. 13.(수), 9:00 ~ 17:00
        2) ‘계절학기 수강료 납부서’ 확인 후, 가상 계좌번호로 수강료 납부
        ※ ‘계절학기 수강료 납부서’ 확인: ‘종합정보시스템’ 또는 ‘수강신청 사이트’에서 확인 메뉴위치: 종합정보시스템> 학사정보> 계절학기수강료납부서
        3) 가상계좌는 학생별, 강좌별로 각각 부여되므로 수강을 원하는 강좌의 수강료만 납부 가능하며 입금자명과 학생이름이 일치하지 않아도 납부가능 (2강좌 이상 수강할 경우, 강좌별 가상계좌로 각각 입금해야 함)
        4) 수강료 미납 시 해당과목의 수강신청이 자동 취소되며 종합정보시스템 수강 확정여부에 ‘미확정’으로 표기됨
        5) 수강료 납부 후 반드시 입금성공 여부 확인할 것
        (확인 방법 : 납부 완료일로부터 1일이 경과 된 후 종합정보시스템 → 교과정보 → 수강정보 → 수강신청내역 ‘계절학기’→수강확정여부가 ‘확정’으로 변경되었는지 확인)
      마. 2차 폐강 (2차 수강변경 및 추가 수강신청)
        1) 수강변경 : 2차 폐강강좌 신청자에 한하여 수강변경 가능
        2) 추가 수강신청 : 여석이 있는 과목에 한하여 추가 수강신청 가능
        3) 추가 수강신청 기간: 11. 21.(목) ~ 11. 22.(금) / 원하는 과목의 개설 학과 사무실에 전화로 연락하여 신청(온라인 신청 아님)
        4) 추가 수강신청자 수강료 납부 : 11. 26.(화) ~ 11. 27.(수), 9:00 ~ 17:00
        (기존 납부 수강료와 별도로 변경과목에 대한 수강료를 추가납부 해야 함)
        5) 폐강과목에 대한 수강료는 일괄적으로 2024. 12. 6.(금)환불 예정
        6) 환불을 위해서는 반드시 본인 환불계좌정보(종합정보시스템 > 개인정보 > 개인신상 > 은행명, 계좌정보)가 입력되어야 함.
      바. 수강취소 기간 및 수강료 환불
      구분
      취소기간
      등록금 환불
      개강 전
      12. 16.(월) 10:00 ~ 12. 17.(화) 17:00
      수강료 전액 환불
      개강 후
      12. 23.(월) 10:00 ~ 12. 27.(금) 17:00
      수강료의 5/6 환불
        1) 취소방법 : 수강신청 시스템에서 본인이 직접 수강취소
        2) 수강료 환불 예정일자: 2025. 1. 10.(금)
        3) 환불을 위해서는 반드시 본인 환불계좌정보(종합정보시스템 > 개인정보 > 개인신상 > 은행명,계좌정보)가 입력되어야 함
      6. 현장실습교과목(실습학기제)관련 안내
      가. 현장실습교과목 편성안내
      현장실습
      구분
      개설
      주체
      편성 상세
      이수
      구분
      비고
      과정
      교과목명
      인정
      학점
      실습요건
      전공
      현장실습

      학부(과)
      계절제
      학과(전공) 단기현장실습 1
      3
      4주(160시간) 이상
      전공
      선택
      학과(전공) 단기현장실습 2
      3
      4주(160시간) 이상
      일반
      현장실습
      대학
      일자리센터
      계절제
      일반 단기현장실습 1
      3
      4주(160시간) 이상
      일반
      선택
      일반 단기현장실습 2
      3
      4주(160시간) 이상
      나. 수강신청 및 수강료
        1) 현장실습 시스템에서 온라인으로 신청접수(https://wess.kau.ac.kr)
        2) 현장실습 기간에는 현장실습을 제외한 다른 과목 수강 불가
        (단, 사이버강좌 및 원격강좌 수강 가능 / 일반과목은 실습기관과 협의하여 수강 가능)
        3) 수강료 납부 후에는 수강 변경 불가하며 현장실습 개시 후 3일 이내에 수강취소 시 수강료의 5/6 환불
      (단, 수강신청 후 수강료 미납 시 자동 취소 처리됨)
        4) 수강료 : 27만원 (학점당 9만원)
      다. 현장실습 학점인정
        1) 현장실습 교과목 운영내규에 따른 평가 후, 현장실습 교과목으로 학점인정
        2) 현장실습교과목 최대 21학점 이수가능
        (계절제 현장실습은 하계 및 동계 각각 3학점 최대 6학점)
      라. 기타사항
        1) 2018년도 계절제 현장실습부터는 현장실습 시스템 구축에 따라 모든 절차를 온라인으로 진행
        2) 자세한 사항은 우리대학 홈페이지 공지사항의 ‘동계 현장실습학기제 실시 안내’ 공고문 참조
      2024. 10.
      교 무 처 장

      2024-10-11

      자세히 보기

    • 2024학년도 2학기 일반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본심사 안내

      2024학년도 2학기 석사학위 청구논문 본심사 계획을 다음과 같이 통보하오니 대상자는 기간 내 신청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1. 관련 근거 : 대학원 학칙 제8장 학위논문 및 일반대학원 학칙 시행세칙 제10장 학위청구논문
      2. 본심사 일정
      기   간
      내   용
      비   고
      11. 11(월) ~ 11. 15(금)
      - 석사학위 청구논문 본심사 신청 기간
      * 종합정보시스템으로 신청
      * 외부심사위원은 개인 정보동의서 (이력서) 제출
      11. 22(금)
      - 석사학위 심사용 논문 제출 기한
      * 대상자가 지도교수에게 제출
        (제출 부수 3부)
      11. 19(화) ~ 11. 21(목)
      - 논문심사료 및 졸업 준비비 납부
      * 가상계좌 납부
      12. 26(목)
      - 석사학위 청구논문 본심사결과 보고서
        제출 기한
      * 표절예방프로그램 검사결과보고서
        (Copy Killer) 지도교수 확인후 제출
      * 학과 사무실로 제출함
      2025. 1. 23(목)
      - 석사학위 청구논문 완성본 제출 기한
      *제출 기한 연장 불가
      3. 석사학위 청구논문 신청 절차
       가. 신청서 작성 방법 : 종합정보시스템 로그인> 학사시스템>학사정보>청구논문심사>석사 본심사
            신청에서 서식 작성 후 출력하여 지도교수 날인 후 학과사무실 제출(주임교수 학과에서 일괄 날인)
             ※ 신청서 작성 전 지도교수와 논문심사 일정을 상의한 후 종합정보시스템에 일정 입력함
        나. 신청서 작성 기간(종합정보시스템) : 2024. 11. 11(월) ~ 15(금) / 해당 기간 외 입력(작성) 불가

      4. 논문심사료 및 졸업준비비 납부
      가. 납부 기간 : 2024. 11. 19(화) ~ 11. 21(목)
      나. 납부금액 : 70,000원(심사료 60,000원/졸업준비비 10,000원)
      다. 납부방법 : 종합정보시스템>학사정보>대학원각종응시료>구분:논문심사료 및 졸업준비비 조회> 납입고지서 출력>가상계좌 납부(계좌이체)
      5. 기타사항
      가. 「대학원 수강신청 및 학위 취득에 관한 세부지침」을 숙지하시어 신청 시 착오가 없도록  확인하시기 바랍니다.('첨부 1' 참조)
      나. 대면심사가 원칙이며 부득이한 경우 온라인 심사를 실시 할 경우 반드시 신청서 제출시 온라인 심사에 대한 계획서를 사전 제출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다. 심사위원 선정시 심사대상자가 과다하게 배정되지 않도록 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라. 결과보고서 제출시 반드시 표절결과보고서를 제출함.
        (심사용 논문제출시에도 논문심사위원장에게 표절검사결과보고서 필수적으로 제출)
      마. 2015학년도 3월 이후 입학생은 연구윤리강좌 미이수시 졸업이 불가하오니 결과 보고서 제출전까지 반드시 이수
      바. 심사 대상자('첨부 1') 중 심사가능 학생에 대해 신청서를 제출 할 수 있도록 지도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 등록 후 신청취소 및 발표 포기시 연구등록금납부 및 환불에 관한 지침에 의거 등록금을 환불 예정임     
      사. 학과 내규에 별도의 석사학위 청구논문 본심사 신청 자격이 있는 경우 신청서 접수시 반드시 확인 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아. 본심사 신청시 예비발표 논문제목과 변경이 된 경우 '논문변경사유서'를 반드시 제출하여야 합니다.  (첨부2)
      자. 논문심사시 위조, 변조, 표절 등 학문적 진실성을 훼손하는 부정행위가 없는지 엄격히 심사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2024-10-10

      자세히 보기

    • 2024학년도 2학기 일반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예비발표 안내

      2024학년도 2학기 일반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예비발표 계획을 다음과 같이 안내하오니 대상자는 기간 내 신청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 다         음 -
      1. 관련 근거 : 대학원 학칙 제8장 학위논문 및 일반대학원 학칙 시행세칙 제10장 학위청구논문
      2. 예비발표 일정
      기   간
      내   용
      비   고
      11. 11(월) ~ 11. 15(금)
      - 석사학위 청구논문 예비발표 신청 기간
      * 종합정보시스템으로 신청
      12. 26(목)
      - 석사학위 청구논문 예비발표 결과 보고서 제출 기한

       3. 석사학위 청구논문 예비발표 신청 절차
        가. 신청서 작성방법 : 종합정보시스템 로그인> 학사시스템>학사정보>청구논문심사>석사 예비발표
            신청에서 서식 작성 후 출력하여 지도교수, 주임교수 날인 후 학과사무실 제출
        나. 신청서 작성 기간(종합정보시스템) : 2024. 11. 11(월) ~ 15(금) / 해당 기간 외 입력(작성) 불가
        다. 신청서 제출 대상자 명단 : 62명(첨부 참조/복수학위 대상자 포함)
       4. 예비발표 대체인정
        가. 국내외 학술대회 논문 발표로 예비발표 대체 가능(지도교수, 주임교수 인정시)
         - 석사과정 입학 후 학술대회에서 발표한 것 모두 인정함(주발표자만 인정함)
          ※ 단, 학위논문과 동일한 내용으로 발표한 것만 인정함
       나. 일반 예비발표자와 동일하게 석사학위 예비발표 신청서 및 결과보고서를 제출해야 함
         □ 결과보고서 작성 방법
           - 예비발표 일시
             * 이번 학기 학술대회 발표한 경우 발표일시 기재
             * 이전 학기 학술대회 발표한 경우 예비발표 결과보고서 제출일자를 기재
           - 발표장소 : 학술대회명 기재 (ex: 2024년도 추계 학술대회(00학회))
           - 심사판정 : 지도교수 포함 심사위원 3명 可/否 판정 후 날인
           - 결과보고서 제출시 학술대회 표지 및 논문 별쇄본 첨부 제출
           * 별쇄본은 논문제목 및 발표자 성명이 나온 첫장만 제출함
      5. 기타사항
       가. 심사 대상자(첨부 참조) 중 심사 가능 학생에 대해 신청서를 제출 할 수 있도록 지도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나. 학과 내규에 별도의 석사학위 청구논문 예비발표 신청자격이 있는 경우 신청서 접수시 반드시 확인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다. 논문심사시 위조, 변조, 표절 등 학문적 진실성을 훼손하는 부정행위가 없는지 엄격히 심사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2024-10-10

      자세히 보기

    • 인공지능학과 최영훈 교수 "항공우주시스템공학회 주관 Joint Conference에서 Best Paper Award 수상"




      일반대학원 인공지능학과 최영훈 교수님과 지능형자율시스템연구실 소속 학생(최재완 학부생, 김민유 인공지능학과 대학원)이 Joint Conference에서 Best Paper Award를 수상했습니다.

      2023년 10월 11일부터 14일까지 제주도 제주부영호텔&리조트에서 개최된 이 컨퍼런스는 아시아 태평양 항공우주시스템공학회 간의 항공우주 기술과
      과학 발전을 위한 공동 노력의 일환으로, 대학과 기관의 연구원, 산업 엔지니어뿐만 아니라 항공우주 기술과 과학의 현재와 미래의 최첨단 주제를 논의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는 국제학술대회입니다.

      수상을 축하드립니다.



       

      2024-04-02

      자세히 보기

    • "해군지능형 가상군 (AI-CGF) 모의기술 연구 과제"_ 한국군사과학기술학회지 12월호 게재

      지승도 학과장님 "해군지능형 가상군 (AI-CGF) 모의기술" 연구 과제 성공적 완료!


      3년 동안 진행된 해군지능형 가상군 (AI-CGF) 모의기술 연구 과제가 성공적으로 완료되었습니다.
      본 연구는 워게임에 인간 대신 AI를 접목한 최초의 시도로서 타당성 검토 연구입니다.
      본 연구를 통해 타당성이 충분히 입증된 만큼, 내년부터 보완 및 확장 연구를 추진하기로 결정되었습니다.
      높은 보안을 필요로 하는 국방 연구 특성상, 축약된 연구 성과만을 두 편의 논문으로 게재하게 되었습니다.

      (1)   진화학습
      (2)   지도학습 및 강화학습

      먼저 한국군사과학기술학회지 12월호에 게재된 진화학습 논문을 소개합니다.(파일 첨부)
      AI입문 과목을 수강한 학생들은 유전알고리즘 기반 진화학습을 어렵지 않게 이해할 수 있을 겁니다.

      관심있는 학생들의 좋은 의견 바랍니다.

      2022-11-28

      자세히 보기

    • AI자율주행시스템공학과 MT 소감문!

      AI자율주행시스템학과 MT 실시
      일시 : 2022.10.22~23.
      장소 : 경기도 양주시 장흥면 임자방 펜션




      코로나19 사태가 조금 진정되면서 우리 학과에서 처음으로 학과 MT를 양주 장흥면에 있는 임자방 펜션으로 갔었다.
      1박 2일의 짧은 여정이였지만 학과 모든 학생이 힘써주어 맛있는 음식도 먹고 게임도 하면서 동기들과 친목의 시간을 보냈다.
      지승도 학과장님을 비롯하여 김필은 교수님, 이유철 교수님도 참석하시어 학교생활이나 학과에 대한 궁금증을 물어보며 아이스브레이킹을 하는 시간도 가져 더 가까워진 느낌이 들었고 여러모로 예쁜 추억을 만들 기회가 되어 흐뭇한 시간을 보내고 왔다.
      MT에 참여한 한 학우가 “처음으로 진행된 학과 MT인 만큼 다들 친해지고 더욱 돈독해질 기회가 될 수 있었다. 1학기에는 이러한 기회가 별로 없었던 만큼 더 즐길 수 있었던 거 같다”고 참여 소감을 전하기도 했다.
      앞으로는 더 다양한 행사를 통해 AI자율주행시스템공학과 학생들이 단합하고 학교생활에 잘 적응하여 좋은 결실을 보았으면 좋겠습니다!

      2022-11-09

      자세히 보기

    • 2022 한국항공대 자율주행차 제작 특강 성료

      제 1회 한국항공대 자율주행차 제작 특강이 성공적으로 마무리 되었다. 이번 특강은 8월 한 달 동안 진행되어 많은 AI융합대학 학생 총 7팀이 참여하였다. 본 특강은 자율주행 차량의 기본 원리를 학습하고 하드웨어 구성 및 딥러닝 소프트웨어 개발까지 모두 실습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했다.
      이번 특강에서는 임베디드 GPGPU 장비인 nVidia의 Jetson을 활용하여 반제품 형태의 자율주행 차량을 직접 조립, 내부 배터리 전원부까지 설계하면서 자율주행차의 하드웨어에 대한 구성과 기초 원리를 습득할 수 있었다. 또한 Ubuntu 환경에서 OpenCV와 YOLO (You only look once, 실시간 물체 탐지 딥러닝 알고리즘)를 활용한 자율주행 알고리즘을 학습하고 실험할 수 있었다.
      특강 마지막 날에는 대회를 열어 각 팀들의 성취도를 평가하였다. 대회는 총 2개의 미션이 주어졌다. 첫 번째는 카메라를 통해 차선을 추적하여 주어진 코스를 벗어나지 않고 주파하는 미션이다. 코스에서 벗어나면 주파 기록에 패널티 시간을 더하는 방식으로 진행되었다. 두 번째는 T자 코스로, 도로 위에 지시 표시가 있어, 이에 따라 주행을 하는 미션이다. 정지 지시 표시가 있는 곳에서 일시 정지한 후 10초 뒤 다시 출발, 이후 나타나는 우회전 지시를 발견하면 우회전하여 결승점에 도착해야 하는 방식으로 진행되었다.
      트랙을 따라 이동 중인 실습용 자율주행 차량
      지시 사항이 표시된 트랙 위를 주행 중인 실습용 자율주행 차량
      이번 특강에서 우수한 성적을 거두어 입상한 팀에게는 AI융합대학 학장상이 주어졌다. 특히 AI자율주행시스템공학과 학생들의 선전이 돋보였다. 최우수상은 김승현 학생, 우수상은 유종민 이재우 학생, 장려상은 신봉진 장동민 학생에게 주어졌다. 이외에 참가자 전원에게 본 특강의 이수증을 수여하였다.
      우수한 성적을 거둔 팀에게 AI융합대학 학장상을 수여하는 지승도 교수(AI자율주행시스템공학과 학과장)

      2022-10-07

      자세히 보기

    • 2022학년 KAU 자율주행차 제작 워크샵 상장 수여식


      한국항공대학교 AI융합대학에서 2022학년도 여름방학 기간에 자율주행차 제작 워크샵을 팀으로 구성하여 진행되었다.
      자율주행차 원리 및 하드웨어 구성 교육부터 직접 자율주행 RC카를 만들기까지 시행착오도 겪었지만 대회까지 무사히 잘 마무리되어
      참석한 팀원들의 기쁨도 컸다.


      9월 23일에 2022년 KAU 자율주행 워크샵에 참여한 학생들을 대상으로 상장 수여식이 진행되었으며 AI자율주행시스템공학과 다수 학생이 수상하였다.
      최우수상에 김승현 학생, 우수상에 유종민 이재우 학생, 장려상에 신봉진 장동민 학생이 수상하였다.
      이번 워크숍에 참여한 한 학우가 “자율주행의 원리와 앞으로 전공을 할 분야에 대해 심층적으로 탐구할 수 있는 계기가 되었다.”며 참여 소감을 전하였다.

      2022-10-05

      자세히 보기

    • "안전한 드론을 위한 이벤트 기반 비상 감지" 연구 SCI급 국제우수등재저널인 “Applied Sciences” 게재

      지승도교수의 지능시스템 연구실에서는 인공지능의 이벤트중심 추상화 기법을 이용한 지능제어 기법을 연구한 바,
      자율 안전 드론에 적용하여 타당성을 입증하였습니다.
      연구 결과는 SCI급 국제우수등재저널인 “Applied Sciences” 8월호에 게재되었습니다.

      2022-08-29

      자세히 보기

    • AI 문화예술 _ 딥프레젠트 동영상 공유

      지승도 교수님의 지능시스템연구실에서 최근에 수행한AI 과제를 소개합니다.

      미디어아티스트 김지선작가의 요청에 의해 무대공연예술에 등장할 네 명(?)의 AI를 학습시키는 연구입니다.
      이를 위해 각 캐릭터 별로 다양한 데이터들을 학습시킴으로써 개성 강한 네 명의 대화형 AI를 만들었고, 작가는 이를 토대로 공연 시나리오를 완성하였습니다.
      Deep Present 라는 제목의 이 무대예술은 국내는 물론 유럽에서까지 성공적으로 공연되었습니다.
      사람이 등장하는 기존의 무대 예술과는 달리 AI만 등장하는 파격으로 문화계에 큰 방향을 일으킨 바 있습니다.

      동영상은 유럽 공연의 일부분입니다. 

       동영상 클릭 ☞    딥프레젠트동영상




      2022-06-14

      자세히 보기

    • 국방과학연구소의 무인자율수상정에 탑제된 AI에이전트 연구 _ 시뮬레이션 동영상 일부 공유

      지승도 교수님의 지능시스템 연구실에서는 2016년부터 2018년까지 3년간 국방과학연구소의 무인자율수상정에 탑재된 AI에이전트 연구를 아주대학교와 공동 수행한 바 있습니다.

      연구 결과에 따른 시뮬레이션 동영상 일부를 공유합니다.

      AI 에이전트가 탑재된 무인자율수상정은 지상에서 임무를 부여받는 것으로부터 시작됩니다.
      동영상에서의 시나리오는 다음과 같습니다.
      대청도 주변의 경계 임무를 하달받은 무인수상정이 임무 지역으로 출동하여 경계근무를 실시하던 중 NLL 인근에서 미식별 물체를 탐지하여 교리에 따른 교전을 실시합니다.


      탑재된 AI에이전트 시스템은 식별, 분류, 상황인지, 의사결정, 계획, 스케줄링, 제어 등 일체의 지능적 기능을 자율적으로 수행하도록 설계되었습니다.
      본 과제와 함께 진행된 실제 무인자율수상정은 LIG넥스원에서 개발되어 현재 진해 앞바다에서 시험 운영 중에 있습니다.

      동영상 클릭 ☞   미디어1

      2022-06-14

      자세히 보기

    • 2024년 AI 활용 아이디어 공모전 모집 공고 안내 및 홍보 협조 요청







      2024-10-22

      자세히 보기

    • [특허청]'꿈씨패밀리×대전명소 굿즈 디자인 공모' 안내

      ‘꿈씨패밀리×대전명소 굿즈 디자인 공모’ 안내
      특허청과 대전시는
      ‘꿈씨패밀리 또는 대전의 주요 명소, 기타 대전을 상징하거나 대전만의 매력이 반영된 중저가 굿즈 디자인’을 주제로 공모를 실시합니다.
      굿즈 제작에 관심이 있는 학생들의 많은 참여 바랍니다.
      - 행 사 명: 꿈씨패밀리×대전명소 굿즈 디자인 공모
      - 신청기간: '24. 10. 14.(월) ~ 11. 29.(금)
      - 참가자격: 대한민국 국민 누구나(개인 또는 4인 이하 팀 구성)
      - 신청방법: 아이디어로(www.idearo.kr)의 ‘챌린지-일반과제’에서 디자인 아이디어 제출
      - 제출형식: JPG 또는 PDF 파일
      - 선정혜택: 최대 5개 작품 선정, 아이디어 거래금 건당 최대 200만원 제공
      (아이디어 거래 작품 외 입선작 20팀에도 기념품 제공)
      ※ 자세한 사항은 ‘아이디어로’ 공고문을 꼭 확인해 주세요.
      (아래 링크 클릭!)
      https://www.ipmarket.or.kr/idearo/service/idc/chlg/idcDetail.do


      2024-10-16

      자세히 보기

    • [채용] 파수 신입직원 공개 채용 안내

      파수 인재개살실에서 자회사 스패로우의 2024년 3차 신입직원 공개 채용이 진행됩니다.
      이번 3차 신입 공채는 인공지능 딥러닝 개발 직무를 적극적으로 모집하고 있으니 많은 관심을 가지고 지원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 파수, 스패로우 - 2024년 3차 신입 공개 채용
      1. 모집 형태: 채용연계형 인턴(신입)
      2. 지원 기간: 9/30(월) ~ 10/13(일) 23:59
      3. 모집 부문
      모집 부문
      직무
      SW개발
      서버 개발(BE/FE)
      클라이언트 개발
      인공지능 딥러닝
      QA
      컨설턴트
      SW 컨설턴트(국내)
      글로벌 SW
      컨설턴트(해외)
      정보보호 컨설턴트
      사업
      영업
      해외사업
      테크니컬 라이터
      4. 지원 방법: 파수, 스패로우 채용 사이트: https://recruit.fasoo.com/
      5. 기타
       - 급여: 월 255만원 (* 정규직 전환 시 기본 연봉은 3,600만원)
       - 인턴 기간: 24년 11/4(월) ~ 25년 2/3(월) - 3개월
       - 지원 문의: career@fasoo.com
         - 회사 소개: 파수 인사이드 https://recruit.fasoo.com/fasoo-inside
       - 채용포스터: https://drive.google.com/drive/folders/1pp1mQryozWQCf_S-f1cwog2ZHL4xnrSs?usp=sharing
      파수 인재개발실.

      2024-10-07

      자세히 보기

    • 「2024년 제5회 DATA/AI 분석 경진대회」 개최 안내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에서 개최하는 인공지능 데이터 및 기술을 기반으로 사회·과학 문제를 해결하고 국내 인공지능 생태계 저변을 확대하고자
      매년 DATA·AI 분석 경진대회를 개최하오니 관심있는 학생들은 참여하시기 바랍니다. 

      가. 경진대회 개요
        ○ 대 회 명: 2024 DATA·AI 분석 경진대회
        ○ 개최기간: 2024. 07. 10(수) ~ 11. 20(수)
      부문
      내용
      참가대상
      문제발굴
      AI 기술 및 데이터 분석을 통해 해결이 필요한 다양한
      사회·과학 문제 및 데이터 발굴
      사회·과학 당면 문제 해결이 필요한 기관이나 개인
      문제해결
      발굴된 문제를 해결하는 높은 성능의 인공지능 모델 개발
      AI 데이터 분석·활용에 관심있는 개인이나 팀

       ○ 참여방법: 경진대회 홈페이지 (https://aida.kisti.re.kr/competition)
       ○ 참가부문 및 참가대상
      부문
      상장
       수상자(팀)
      시상 내역
      상금
      문제발굴
      우수문제 발굴상
      4인
      * KISTI 원장상
      각 50만원
      문제해결
      우수문제 해결상
      6팀
      * 해양경찰청장상
      * 국회도서관장상
      * 대전중구청장상
      * 수요기관 추가예정
      각 200만원
      특별상
      대상
      1팀
      * 국회의장상
      400만원
      최우수상
      2팀
      * 연구회이사장상
      * 대전광역시장상
      각 200만원
      우수상
      2팀
      * KISTI 원장상
      각 100만원
       
       ○ 대회일정 
      진행 내용
      일정
      비고
      문제발굴
      7. 10. ∼ 8. 16.
      (경진대회 기간 이후에도  상시 진행 예정)
      경진대회 플랫폼
      채택 문제 공개
      8. 23.
      경진대회 플랫폼
      문제해결
      8. 23. ∼ 10. 25.
      경진대회 플랫폼
      문제별 후보 선정
      11. 7 ~ 11. 8.
      온라인 평가
      우수 모델 선정
      11. 13. (추후 확정)
      발표 평가
      시상식
      11. 20. (추후 확정)
      미래연구정보포럼

       ○ 시상내역: 총 상금 2,400만원 / 15개 팀 선발

      2024-09-03

      자세히 보기

    • [SW중심대학] 2024년 SW중심대학 사업단 여름방학 프로그램 공지

      2024년 SW중심대학 사업단 여름방학 프로그램을 안내하오니 관심있는 학생들은 참여하시기 바랍니다.

      2024년 SW중심대학 AI비즈니스해커톤 https://scm.kau.ac.kr/ko/program/all/view/14492024 여름방학 코딩테스트 대비 캠프(초급반) https://scm.kau.ac.kr/ko/program/all/view/14352024 여름방학 코딩테스트 대비 캠프(중급반) https://scm.kau.ac.kr/ko/program/all/view/14362024 한국항공대학교 KAUPC 프로그래밍 경진대회 https://scm.kau.ac.kr/ko/program/all/view/1445

      2024-06-20

      자세히 보기

    • 2024 “내일 찾아 드림”한마당 행사

      교내 학생 및 지역청년들의 진로·직업 선택 및 취업에 대비하여 채용동향안내와 취업분위기 조성을 하고 진로·취업 정보 공유의 장을 마련하고자 다음과 같이 “내일 찾아 드림“ 한마당 행사를 운영하오니 관심있는 학생들은 참여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 다             음 -
      1. 행 사 명 : 2024 대학일자리센터 “내일 찾아 드림”한마당 행사
      2. 운영일시 : 2024.05.28.(화) ~ 2024.05.29.(수) 10:00~16:00
      3. 행사장소 : 학생회관 앞 광장
      4. 참가대상 : 본교 학생 및 지역 청년
      5. 행사내용
      구분
      운영 내용
      기획행사
            ■ 이미지메이킹 및 퍼스널컬러진단
            ■ 핑거맵 진로적성검사
       ■ 30초 자기소개 스피치
      상시행사
       ■ 고양고용센터 및 고양시 청취다방 청년정책 안내
      ■ 대학일자리센터 진로취업 컨설팅
      ■ 디퓨져 DIY 체험행사
                                                                 

      2024-05-17

      자세히 보기

    • 제22회 임베디드 소프트웨어 경진대회

      임베디드SW경진대회는 산업통상자원부에서 주최하고 임베디드SW·System산업협회에서 주관하는 경진대회로, 올해로 22년째 진행되고 있으며 국내 대기업을 포함한 여러 기업과 기관에서 후원하고 있습니다.
      총 상금 4,270만원 및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상 4점을 포함한 64점(입선 포함)의 시상이 이루어질 예정이며, 장려상 이상의 수상팀은 11월 말 시상식에서 시상이 이루어집니다.


      ○ 대회명 : 제22회 임베디드 소프트웨어 경진대회
      ○ 후원 기업 : LG전자, 현대자동차, MDS테크, 팝콘사-AWS, 한화비전, 슈퍼트랙
      ○ 총 상금 : 4,270만원
      ○ 접수 기간 : 5월 2일 ~ 6월 7일(자유공모 부문은 9월 5일까지 접수 가능)
      ○ 참가 대상 : 대한민국 국민 누구나 (부문별로 상이함)
      ○ 홈페이지 링크 : www.eswcontest.or.kr
      ○ 문의 : 임베디드소프트웨어 시스템산업협회 / 02-2046-1435/contest@fkii.org




      2024-05-16

      자세히 보기

    • TOPCIT 신규 평가모델 파일럿 테스트

      정보통신기획평가원(IITP)에서 TOPCIT 신규 평가모델 파일럿 테스트 참가자를 모집합니다.
      이번 파일럿 테스트는 2022년부터 시작된 TOPCIT 개편의 일환으로, 오는 5-6월 TOPCIT의 신규 출제기준을 적용한 테스트입니다.
      TOPCIT은 국가 공인 소프트웨어 개발 능력 검정 시험이며, 참여자에게는 인당 2만원 상당의 기프티콘이 지급될 예정이오니, 관심 있는 학생분들의 많은 참여 바랍니다.
       ■ 테스트 장소: 교내 시험장
       ■ 테스트 일시: 2024.05.27 - 2024.06.07
       ■ 테스트 방법: TOPCIT 시험과 동일
        ※ 본 테스트 결과는 TOPCIT 성적으로 인정되지 않습니다.
        ※ 테스트 문제는 대외 비공개로 외부 유출해선 안 됩니다.
       ■ 참여 자격: AI자율주행시스템공학과 2-4학년  및 소프트웨어학과
       ■ 참여 방법 :  minxxx@kau.ac.kr로 아래 내용 발송
        - 제목 : TOPCIT 파일럿 테스트 참가 신청
        - 내용 : 이름 및 학번 / 학과 / 학년 / 이메일 / 휴대전화 번호 기재

      2024-05-14

      자세히 보기

한국항공대학교 AI자율주행시스템공학과에 오신 것을 환영합니다

AI자율주행시스템공학과는 4차산업혁명시대에 신성장 동력으로 기대되고 있는 AI 및 자율주행 산업을 선도할 전문인력 양성을 목표로 신설된 학과입니다.
2021년 과학기술정통부가 지원하는 소프트웨어 중심사업단 참여학과로서 인턴십과 프로젝트 기반 교과목의 운영으로 산업체에서 요구하는 기술개발과 연구능력을 갖춘 실전형 AI 융합인재 양성을 교육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자율주행 기술은 친환경 에너지 기반의 전기자동차에 적용되는 AI 융합기술로서 미래 모빌리티 산업을 발전시킬 핵심기술입니다.
또한, 미래 차 뿐만 아니라 로봇, 항공기, 선박, 농기계 등 다양한 산업 분야에 적용될 것으로 전망되는 4차산업혁명시대의 핵심기술로서 최근 세계적 기업들이 미래 교통수단으로 개발 경쟁을 하는 도심형항공교통에도 자율주행이 핵심기술로 부상하고 있어 향후 가장 유망한 신성장 산업 분야입니다.

자율주행 기술의 핵심은 다양한 학문 간의 융합이므로 AI융합대학의 소프트웨어학과, 스마트드론공학과와 연계함과 동시에 유관 산업체 등과 유기적 협력으로 융합형 전문가를 양성하고자 합니다.